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미니멀리즘

하루 앱 사용시간을 2시간으로 줄이는 루틴

by cosmos-news 2025. 7. 11.

 

앱을 줄이지 않으면, 시간은 사라진다

나는 예전엔 하루 앱 사용 시간이 평균 5~6시간이었다.
잠깐만 봐야지하고 켰던 유튜브, 인스타, 뉴스 앱이어느새 한 시간이 지나가 있게 만들었다.

그 시간을 다 합치면 내 하루의 4분의 1이 앱에 사라지고 있었던 셈이다.

그래서 실험해보기로 했다.
앱 사용 시간을 하루 2시간 이내로 줄이기.
그렇게 1주일간의 루틴을 만들어 지켜봤다.

놀랍게도 나는 성공했고 그 결과는 시간 이상의 변화를 안겨줬다.

 

현재 사용 시간을 파악해 보았다

가장 먼저 한 일은, 정확한 앱 사용 시간 확인이었다.

나는 아이폰의 '스크린타임' 기능을 활용했고,

안드로이드는 '디지털 웰빙' 앱을 사용했다.

확인 포인트는 총 화면 사용 시간, 가장 오래 쓰는 상위 5개 앱

그리고 앱 실행 횟수 였다.

내가 가장 오래 쓰는 앱은 유튜브, 인스타그램, 카카오톡이었다.
나도 모르게 자주 들어가는 앱들이 시간을 가장 많이 잡아먹고 있었다.

 

사용시간 제한 기능을 설정한다

나는 상위 5개 앱에 제한을 걸었다.

유튜브 하루 30분, 인스타그램 하루 20분, 카카오톡 하루 30분, 기타 앱들 합산 40분

앱별 제한 설정 시, 암호를 걸어두면 강제성이 더 높아졌다
그래서 나는 가족에게 비밀번호를 맡겨버렸다.

 

절제 루틴을 만들었다 .

앱 사용을 줄이기 위해 단순한 의지만으로는 안 됐다.
그래서 나는 하루 루틴을 설계했다.

아침에는 앱을 일절 사용하지 않고 알람 종료 후 핸드폰을 바로 책상 위에 올려둔다

점심시간 중 인스타그램, 카카오톡 확인 시간 외에는 앱 잠금 유지

저녁ㄴ[는 최대 1시간으로 유튜브 30분 감상 (타이머 설정)

남는 시간은 메모, 뱅킹 등 기능성 앱에 사용한다는 이 루틴을 적용했다.
그 결과로 하루 앱 사용시간이 1시간 45분~1시간 55분으로 크게 줄었다.

 

시간이 줄자, 얻은 것은 더 컸다

자주 켜던 앱을 일부러 찾아야 하니 의식 없이 앱을 여는 습관이 사라졌다.
시간이 남으니 내가 하고 싶은 일에 독서, 글쓰기, 운동 등 진짜 하고 싶던 일이

다시 눈에 들어오고 더 몰입할 수 있었다.
불필요한 정보에 휘둘리는 일이 거의 사라져 주의력과 감정 소모가 줄었다.

 

앱 사용을 줄인다는 건, 삶을 다시 디자인하는 일이다

나는 이제 폰에 시간을 쓰지 않는다.

폰으로 시간을 조정하고 선택한다.

앱 사용 시간 2시간 제한은 단순한 절제가 아니다.
나를 위해 시간을 되돌려주는 도구 설계다.

오늘 당신도, 앱 사용 시간을 체크해보면 어떨까?
그리고 가장 먼저 줄일 수 있는 앱 하나에 제한을 걸어보면 어떨까?

생각보다 그 10분이 인생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고 판단한다.

여러분의 하루 앱 사용시간은 몇 시간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