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smos-news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8

K-AI HUB 시리즈 (5편) 왜 한국인가— AI 허브의 최적 입지로 1. 한국이 AI 허브로 주목받는 이유AI 데이터센터와 초고속 메모리, 저지연 네트워크가 결합된 AI 인프라 풀스택 경쟁이 시작되었습니다.그 속에서 한국은 다음과 같은 강점을 바탕으로 아시아 AI 허브로서의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2. 한국의 5대 강점 강점 설명반도체 공급망 중심지한국은 세계 메모리 HBM·DDR의 약 90%를 생산하는 국가 중 하나입니다.초저지연 통신 인프라5G/6G 인프라가 성숙되어 있고, 아시아·미주·유럽을 연결하는 해저 케이블망이 풍부합니다.강력한 정책 지원 및 인센티브정부가 AI 인프라 투자, 클라우드·데이터센터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 및 재생에너지 연계를 추진 중입니다.지역적 전략 입지중국과 일본 사이에 위치하며, 아시아 시장에 접근성 높은 지리적 이점을 갖추.. 2025. 10. 21.
2025 용산기지 둘레길 도시공원 산책 가족여행기 2025 용산기지 둘레길 산책기: 역사와 미래를 잇는 용산 도시공원추석 연휴에 떠난 용산기지 둘레길 여행지난 2025년 10월 11일, 길었던 추석 연휴가 끝나갈 무렵 우리 가족 4명은 용산기지 둘레길 도시공원 산책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 다른 참가자와 2명의 전문 해설사와 함께 서울 한복판 용산 미군기지 남단을 걸으며, 외국군 주둔지였던 공간이 시민의 공원으로 거듭나는 변화를 몸소 느껴보는 특별한 산책이었습니다.여행은 용산기지 주변 3.1km 구간을 약 2시간에 걸쳐 이동하는 코스로 진행되었습니다. 코스는 용산의 변천사를 담은 전시관에서 시작해 용산공원 부분개방 부지까지 이어졌고, 도심 한가운데 금단의 땅이었던 미군 기지가 어떻게 시민 품으로 돌아오게 되었는지 과거와 현재의 이야기가 발걸음마다 펼쳐.. 2025. 10. 18.
K-AI HUB 시리즈 (4편) 이해관계의 지도 — 누가 무엇을 얻는가? 글로벌 자본의 흐름, 최첨단 반도체 기술, 견고한 통신 인프라,그리고 이를 아우르는 정책적 프레임워크가 결합된 복합적인 경제 생태계입니다.1. 울산 이후, 판이 커진다울산의 103MW AI 데이터센터 착공으로 K-AI 허브 프로젝트는 본격적인 산업 생태계로 확장되었습니다.이제 중심은 한 기업의 기술이 아니라, 자본·정책·기술·운영·데이터가 얽힌 이해관계의 지도로 옮겨가고 있습니다.2. K-AI 허브의 5대 축이 5대 축은 서로 경쟁하면서도 협력하는 구조를 이루며,각자가 얻는 이익과 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조율력이 핵심입니다. 축 핵심 주체 역할 기대 이익① 자본(Investment)BlackRock인프라·재생에너지 투자, ESG 펀드 운영안정적 인프라 수익, AI 인프라 펀드 확대② 기술(Technolog.. 2025. 10. 18.
K-AI HUB 시리즈 (3편) 울산, AI 고속도로의 첫 엔진 — SK + AWS의 103MW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1. 울산에서 시작된 AI 인프라 혁명2025년, SK그룹과 AWS는 울산광역시에 103MW급 AI 데이터센터 건설을 공식 발표했습니다.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클라우드 센터가 아닙니다.AI 연산을 위한 국내 최초 초대형 슈퍼컴퓨팅 전용 인프라로,대한민국 AI 고속도로(K-AI HUB)의 첫 엔진이 되는 상징적 프로젝트입니다.2. 규모와 구조 — 7조 원의 초대형 인프라이 데이터센터는 AI 학습(Training) 과 실시간 추론(Inference) 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SK와 AWS의 협력을 통해 클라우드 인프라 + 반도체 수요 + 전력 관리를 통합하는 모델로 추진됩니다.항목 주요 내용프로젝트 명칭Ulsan AI Data Center (SK + AWS)총 투자액약 7조 원 (한화 기준)전력용량.. 2025. 10. 10.
킹 sㅔ종 더 그레이트-독서 리뷰 킹 sㅔ종 더 그레이트 – 한글날에 만난 세종대왕의 감동 이야기 2025년 10월 9일 한글날, 훈민정음 창제를 기념하는 한글날에 우연히 집어 든 한 권의 소설이 있었습니다. 바로 미국 스타트렉 시리즈의 작가 조 메노스키가 쓴 역사 판타지 킹 세종 더 그레이트 였습니다. 외국인의 시선으로 우리 역사상 가장 존경받는 성군 세종대왕과 한글 창제 이야기를 다뤘다는 사실에 호기심이 일었습니다. 스타트렉의 작가가 왜 하필 세종대왕의 이야기를 썼을까 궁금하였습니다. 하루만에 다 읽고 독서리뷰를 작성해 봅니다.그는 10년 전 처음 한글을 배우며 이 과학적이고도 아름다운 문자와 그 창제자 세종의 이야기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합니다. 메노스키는 만약 유럽의 어느 군주가 백성을 위해 문자를 만들었다면 그 이야기는 전 세.. 2025. 10. 10.
K-AI HUB 시리즈 (2편) — 글로벌 연합: OpenAI × Samsung × SK, AI 슈퍼컴 동맹의 구조 1. 연합의 시작 — 왜 서로 손을 잡았는가AI 산업은 이제 모델 경쟁을 넘어 인프라 경쟁으로 전환되었습니다.GPU, 전력, 반도체, 냉각, 자본이 얽힌 초대형 산업 체인.그 중심에서 OpenAI, 삼성, SK는 각자의 핵심 역량을 묶어AI 슈퍼컴 얼라이언스를 형성하고 있습니다.2. 삼각 동맹의 구조참여자 핵심 역할 보유 자원 기대 시너지OpenAI글로벌 AI 워크로드 제공GPT 계열 모델, AI 학습 수요한국 내 저지연 AI 서비스 허브 확보Samsung Electronics반도체·메모리 공급HBM, DDR, SoC, 데이터센터 기술반도체 수요 확대, AI 생태계 내재화SK Hynix / SK Telecom반도체 + 통신 + 클라우드HBM, 통신 인프라, DX 서비스AI 연산 + 통신 최적화 플랫폼한국.. 2025. 10. 8.